장세규 KIST 박사는 "나노소재인 BNNT의 제조 공정상 한계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마비체류 작성일 25-11-09 03:00 조회 4 댓글 0본문
학교폭력변호사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정렬도·밀도가 모두 높은 BNNT 필름을 제작할 수 있었다. 완성된 BNNT 필름은 기존 형태보다 3배 이상 높은 밀도와 약 3.7배 향상된 중성자 차폐 성능을 보였다. 튼튼하면서도 열을 잘 전달하는 우주 방사선 방패가 만들어진 것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의 공동 시뮬레이션 결과 새 BNNT 필름은 같은 질량(두께) 대비 알루미늄보다 약 15% 더 높은 방사선 차단 효율을 보였다. 특히 2차 중성자 차폐 성능이 뛰어났다.
연구진은 새 BNNT 필름이 △우주선 경량 차폐 구조물 △달·화성 기지의 방호막 △고성능 우주복 소재 등으로 활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진은 "필름을 적절한 두께로 적용하면 달을 탐사하는 탐사 우주비행사에게 국제우주정거장(ISS) 수준의 방사선 안전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며 "탐사 임무 기간을 최대 2배까지 연장할 수도 있다. 향후 장기 우주 탐사 및 달·화성 기지 건설의 핵심 기반 기술이 될 거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