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자가 적절한 평가 방법을 찾고, 학생의 윤리의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페이지 정보

본문
수원형사변호사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C 교수는 "대학 교수학습지원센터가 있긴 하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대학에는 교수뿐 아니라 일반 강사도 많기 때문에 강의자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고 기술 변화에 따른 고민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B씨는 "초·중·고 교육 과정에서도 AI 리터러시 교육을 찾기 쉽지 않다"며 "표절 등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내면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에서 11일 조금은 특별한 전시가 열렸다.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가 미술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모든 작품을 손으로 만져볼 수 있다.
학생들은 와인잔 형태의 작품을 들어 잔 속 흔들리는 구슬 소리에 귀 기울였다. 정치외교학과 21학번 권영서씨는 "평소 와인잔을 돌리는 스월링을 할 때 와인의 색을 감상하는데, '작품의 작가님은 소리와 촉감을 감상하겠구나' 싶었다"며 "모두가 똑같이 살거라는 생각으로 살았는데 '각자 다르게 살고 있구나'는 생각이 들어 시각을 넓힐 수 있었다"고 했다.
이번 전시회는 서울대 중앙도서관과 장애학생지원센터가 '장애인식개선주간'을 맞아 13일까지 개최하는 전시회 '달찮은 하루'다. '달찮다'는 '다르지 않다' 또는 '달라도 괜찮다'의 준말이다. 시각장애 예술가 에이전시 '에이블라인드'가 전시를 맡아 20여점의 작품을 선보였다..
- 이전글새로운 시작: 과거를 떠나 미래로 25.11.12
- 다음글조루치료 25.11.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