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새주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소보호재 작성일 25-10-14 20:53 조회 5 댓글 0본문
텅 빈 교실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고교 내신이 5등급제가 된 뒤 1등급 아닌 아이들이 자퇴 고민을 많이 한다더라고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내신 평가 방식이 기존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바뀌면서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사이에서 고교 1학년 학생의 자퇴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9등급제 때는 상위 4%만이 내신 1등급이었으나 5등급제가 되면서 상위 10%까지 1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동시에 2등급 범위 또한 기존 상위 11%까지였던 것에서 상위 11∼34%까지 확대되면서 1등급에서 벗어나면 서울권 대학 진학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릴게임 손오공
어서다.
이 때문에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1등급을 받지 못한 학생들이 아예 고등학교를 자퇴한 뒤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에 진학하는 '전략적 자퇴'를 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런 소문은 사실일까. 확인 결과 올해 1학기 고1 자퇴생 비중은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투데이
자퇴학생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올해 상반기 고교 1년 자퇴생 비율 1.7%…작년보다 감소
1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3~8월) 태양산업 주식
전국 고등학교 1학년에 다니다 자퇴한 학생 수는 7천56명이다.
이는 올해 3월 나이스(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등록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으로, 전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2만3천793명 가운데 1.7%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학년 자퇴생(44만4천844명 중 8천476명, 1.9%) 비율보다는 0.2%포인릴게임천국
트 줄었다.
다만, 9등급제가 실시되는 2학년과 3학년의 자퇴 비율도 작년보다 줄었다.
올 1학기 2학년 자퇴생 비율은 1.2%(43만419명 중 5천339명)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5%(45만4천298명 중 6천917명)보다 적은 편이다. 3학년 자퇴생 비율 역시 지난해 1학기 0.3%(40만6천213명 중 1천6야마토2게임
1명)에서 올해 1학기에는 0.2%(44만3천329명 중 996명)로 감소했다.
이는 최근의 고교 자퇴생 증가세와는 다른 양상이기도 하다.
교육통계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연간 고교 자퇴생 수는 2020년 1만4천140명, 2021년 1만9천740명, 2022년 2만3천609명, 2023년 2만5천588명, 2024년 2만6천753명 등으로 상승 추세다.
[표] 3~8월 고등학교 자퇴 학생 현황 (단위:명)
(진선미 의원실 제공. 자료 출처 교육부)
수능을 앞두고 '열공'하는 고3 학생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육 현장서도 "자퇴생 많지 않아…내신 반영 확대 분위기 영향"
이를 두고 대다수 대학이 올해 고교 1학년생이 대학에 입학하는 2028년도 입학 전형계획을 아직 발표하지 않은 가운데 서울 일부 대학이 내신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 입시안을 발표하면서 자퇴생에게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 강남권의 한 유명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입학 담당 교사는 "고1 자퇴생은 오히려 줄었다"면서 "자퇴하는 경우 수능에 '올인'하겠다는 건데 최근 대학들의 입시 요강을 보면 내신을 예전보다 더 중시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사는 "특히 특수목적고(특목고)나 자사고에서 자퇴생이 늘어날 것이라고들 예상했으나 그런 부분을 불안해하는 학생들은 아예 (특목고나 자사고에) 지원하지 않았고, 막상 입학해 공부해 보니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는) '올(all) 1등급' 비율이 그렇게 높지도 않은 것으로 파악돼서인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일반고에서 근무하는 교사 김모(46) 씨는 "자퇴생이 없지는 않지만, 올해 더 늘어난 것 같지는 않다. 특히 내신 문제로 자퇴하는 사례는 없는 것 같다"면서 "보통 이 시기에 학교를 떠나는 경우는 성적보다 학교 적응의 문제가 더 크다"고 짚었다.
지난 2023년 고교 내신 5등급제 도입 발표 당시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부 학부모들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서울에 있는 한 특목고 1학년생의 학부모인 신모(45)씨는 "내신이 좋지 못해 고민이긴 하지만 학교에서 현재의 5등급제가 특목고에 전혀 불리하지 않다고 하고, 자퇴하고 검정고시를 보면 오히려 수시 전형 때 불리할 수 있다고 해 어떻게든 해내려고 한다"고 말했다.
전국형 자사고에 다니는 고1 자녀를 둔 곽모(46)씨도 "서울대의 2028년도 입시 요강을 보면 정시에서도 내신을 반영한다. 서울대가 이렇게 하면 다른 대학도 따라가지 않겠느냐"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만 잘 봐서 역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어졌기 때문에 이제는 자퇴가 아니라 전학하더라도 학교에 다녀야 한다고들 이야기한다"고 전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내신 체계 개편과 교육 현장 대응 강화, 학생·학부모의 인식 변화 등 복합적 요인 때문에 자퇴생이 감소한 것 같다"면서 "실제 자퇴 후 대입 경쟁의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정보가 확산하며 신중하게 결정하는 사례도 늘어났다"고 말했다.
'수시 전형이 고민' [연합뉴스 자료사진]
"상반기 자퇴는 '학교 부적응'이 주원인…연말까지 지켜봐야"
보통 연말에 자퇴를 결정하는 비중이 높고, 고교 현장은 내신 5등급제와 더불어 올해 처음 시행된 고교학점제 때문에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는 점에서 1학기가 아닌 연간 자퇴생 수를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1 상반기 자퇴생은 대입을 위한 '전략적 자퇴'보다는 학교 부적응으로 인한 경우가 더 많다는 점에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보통 1학년 2학기 중간고사라도 보고 나서 (자퇴 여부를) 고민하지, 고등학교 들어가자마자 그만두지는 않는다"면서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갈 때 얼마나 자퇴했는지를 봐야 입시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대부분 대학이 현재 고1에게 해당하는 입시 전형을 발표하지 않아 아직은 다들 지켜보는 분위기"라면서 "서울대는 내신을 강화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했지만 만약 다른 대학들이 수능만으로 뽑는 전형을 유지한다고 하면 자퇴가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입시 전문가는 "1학년생이 상반기에 자퇴하면 대부분 사유가 부적응이고 대입과는 상관없다"면서 "검정고시는 자퇴한 뒤 6개월이 지나야 볼 수 있어 내년 8월 시험을 염두에 둔 학생들이 주로 연말에 자퇴하는 만큼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부적응으로 인한 자퇴에는 내신 등급제 개편과 함께 올해 도입된 고교학점제도 일부 영향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교사 김씨는 "학생들이 해보지 않은 것을 하려다 보니 어려움이 있다"면서 "가뜩이나 1학년은 새 학교에 적응하기도 힘든데 학교 과정까지 복잡해지니 더 힘들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강남 자사고의 입학 담당 교사도 "고교학점제로 최소 성취 수준 미달자는 따로 지도받아야 하는데 이런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다고 들었다"면서 "(재수강하는) 학생들은 낙인이 찍힌다고 느끼는 것 같다"고 전했다.
lucid@yna.co.kr
<연합뉴스 팩트체크부는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factcheck@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제보는 카톡 okjebo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고교 내신이 5등급제가 된 뒤 1등급 아닌 아이들이 자퇴 고민을 많이 한다더라고요."
현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내신 평가 방식이 기존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바뀌면서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사이에서 고교 1학년 학생의 자퇴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9등급제 때는 상위 4%만이 내신 1등급이었으나 5등급제가 되면서 상위 10%까지 1등급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동시에 2등급 범위 또한 기존 상위 11%까지였던 것에서 상위 11∼34%까지 확대되면서 1등급에서 벗어나면 서울권 대학 진학이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릴게임 손오공
어서다.
이 때문에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1등급을 받지 못한 학생들이 아예 고등학교를 자퇴한 뒤 검정고시를 통해 대학에 진학하는 '전략적 자퇴'를 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이런 소문은 사실일까. 확인 결과 올해 1학기 고1 자퇴생 비중은 지난해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투데이
자퇴학생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올해 상반기 고교 1년 자퇴생 비율 1.7%…작년보다 감소
1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학기(3~8월) 태양산업 주식
전국 고등학교 1학년에 다니다 자퇴한 학생 수는 7천56명이다.
이는 올해 3월 나이스(NEIS·교육행정정보시스템) 등록 학생 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것으로, 전체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2만3천793명 가운데 1.7%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학년 자퇴생(44만4천844명 중 8천476명, 1.9%) 비율보다는 0.2%포인릴게임천국
트 줄었다.
다만, 9등급제가 실시되는 2학년과 3학년의 자퇴 비율도 작년보다 줄었다.
올 1학기 2학년 자퇴생 비율은 1.2%(43만419명 중 5천339명)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5%(45만4천298명 중 6천917명)보다 적은 편이다. 3학년 자퇴생 비율 역시 지난해 1학기 0.3%(40만6천213명 중 1천6야마토2게임
1명)에서 올해 1학기에는 0.2%(44만3천329명 중 996명)로 감소했다.
이는 최근의 고교 자퇴생 증가세와는 다른 양상이기도 하다.
교육통계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연간 고교 자퇴생 수는 2020년 1만4천140명, 2021년 1만9천740명, 2022년 2만3천609명, 2023년 2만5천588명, 2024년 2만6천753명 등으로 상승 추세다.
[표] 3~8월 고등학교 자퇴 학생 현황 (단위:명)
(진선미 의원실 제공. 자료 출처 교육부)
수능을 앞두고 '열공'하는 고3 학생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교육 현장서도 "자퇴생 많지 않아…내신 반영 확대 분위기 영향"
이를 두고 대다수 대학이 올해 고교 1학년생이 대학에 입학하는 2028년도 입학 전형계획을 아직 발표하지 않은 가운데 서울 일부 대학이 내신 비중을 늘리는 것을 골자로 한 입시안을 발표하면서 자퇴생에게 유리하지 않을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서울 강남권의 한 유명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입학 담당 교사는 "고1 자퇴생은 오히려 줄었다"면서 "자퇴하는 경우 수능에 '올인'하겠다는 건데 최근 대학들의 입시 요강을 보면 내신을 예전보다 더 중시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사는 "특히 특수목적고(특목고)나 자사고에서 자퇴생이 늘어날 것이라고들 예상했으나 그런 부분을 불안해하는 학생들은 아예 (특목고나 자사고에) 지원하지 않았고, 막상 입학해 공부해 보니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는) '올(all) 1등급' 비율이 그렇게 높지도 않은 것으로 파악돼서인 것 같다"고 말했다.
경기도의 한 일반고에서 근무하는 교사 김모(46) 씨는 "자퇴생이 없지는 않지만, 올해 더 늘어난 것 같지는 않다. 특히 내신 문제로 자퇴하는 사례는 없는 것 같다"면서 "보통 이 시기에 학교를 떠나는 경우는 성적보다 학교 적응의 문제가 더 크다"고 짚었다.
지난 2023년 고교 내신 5등급제 도입 발표 당시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부 학부모들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서울에 있는 한 특목고 1학년생의 학부모인 신모(45)씨는 "내신이 좋지 못해 고민이긴 하지만 학교에서 현재의 5등급제가 특목고에 전혀 불리하지 않다고 하고, 자퇴하고 검정고시를 보면 오히려 수시 전형 때 불리할 수 있다고 해 어떻게든 해내려고 한다"고 말했다.
전국형 자사고에 다니는 고1 자녀를 둔 곽모(46)씨도 "서울대의 2028년도 입시 요강을 보면 정시에서도 내신을 반영한다. 서울대가 이렇게 하면 다른 대학도 따라가지 않겠느냐"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만 잘 봐서 역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없어졌기 때문에 이제는 자퇴가 아니라 전학하더라도 학교에 다녀야 한다고들 이야기한다"고 전했다.
이만기 유웨이교육평가연구소장은 "내신 체계 개편과 교육 현장 대응 강화, 학생·학부모의 인식 변화 등 복합적 요인 때문에 자퇴생이 감소한 것 같다"면서 "실제 자퇴 후 대입 경쟁의 현실적 어려움에 대한 정보가 확산하며 신중하게 결정하는 사례도 늘어났다"고 말했다.
'수시 전형이 고민' [연합뉴스 자료사진]
"상반기 자퇴는 '학교 부적응'이 주원인…연말까지 지켜봐야"
보통 연말에 자퇴를 결정하는 비중이 높고, 고교 현장은 내신 5등급제와 더불어 올해 처음 시행된 고교학점제 때문에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는 점에서 1학기가 아닌 연간 자퇴생 수를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1 상반기 자퇴생은 대입을 위한 '전략적 자퇴'보다는 학교 부적응으로 인한 경우가 더 많다는 점에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보통 1학년 2학기 중간고사라도 보고 나서 (자퇴 여부를) 고민하지, 고등학교 들어가자마자 그만두지는 않는다"면서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갈 때 얼마나 자퇴했는지를 봐야 입시와 연관성이 있는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대부분 대학이 현재 고1에게 해당하는 입시 전형을 발표하지 않아 아직은 다들 지켜보는 분위기"라면서 "서울대는 내신을 강화하겠다는 메시지를 전달했지만 만약 다른 대학들이 수능만으로 뽑는 전형을 유지한다고 하면 자퇴가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익명을 요구한 또 다른 입시 전문가는 "1학년생이 상반기에 자퇴하면 대부분 사유가 부적응이고 대입과는 상관없다"면서 "검정고시는 자퇴한 뒤 6개월이 지나야 볼 수 있어 내년 8월 시험을 염두에 둔 학생들이 주로 연말에 자퇴하는 만큼 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부적응으로 인한 자퇴에는 내신 등급제 개편과 함께 올해 도입된 고교학점제도 일부 영향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교사 김씨는 "학생들이 해보지 않은 것을 하려다 보니 어려움이 있다"면서 "가뜩이나 1학년은 새 학교에 적응하기도 힘든데 학교 과정까지 복잡해지니 더 힘들어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강남 자사고의 입학 담당 교사도 "고교학점제로 최소 성취 수준 미달자는 따로 지도받아야 하는데 이런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다고 들었다"면서 "(재수강하는) 학생들은 낙인이 찍힌다고 느끼는 것 같다"고 전했다.
lucid@yna.co.kr
<연합뉴스 팩트체크부는 팩트체크 소재에 대한 독자들의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이메일(factcheck@yna.co.kr)로 제안해 주시면 됩니다.>>
▶제보는 카톡 okjebo
관련링크
- http://46.588bam3.top 0회 연결
- http://75.588bam.top 0회 연결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